본문 바로가기

서버의 기본과 구조3

1장. 서버의 기초지식(2) 네트워크의 두 가지 유형 클라이언트/서버형과 피어-투-피어(P2P)형 현재 네트워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클라이언트/서버형과 피어-투-피어(Peer to Peer, P2P)형이다. 클라이언트/서버형(Client-Sever Model, C/S형)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바탕으로 오래 전부터 존재해온 형태이다. 클라이언트/서버형의 네트워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두 가지 단말로 구성되어 서버를 중심으로 클라이언트가 사방에서 둘러싸는 네트워크이다. 클라이언트/서버형 네트워크에서 각 단말의 역할은 명확히 나뉘어져 있다. 네트워크내에서는 항상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리퀘스트를 보내면 서버가 그에 답하는 흐름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양쪽의 역할이 역전되는 일은 없다. 피어-투-피어형(Peer to Peer,.. 2019. 9. 16.
1장. 서버의 기초지식(1) ※일본어 기술서로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된 용어나 문장이 어색할 수 있음. ※들어가기 전에 알아 두면 좋을 기본용어 가상화(virtualization): 책 내용 직역 ☞서버 등 한 대의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상에서 마치 여러 대 있는 것처럼 분할해서 관리하는 것. TTA정보통신용어사전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적인 단위로 나누고 통합하여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일반적인 용어의 가상화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상상의 것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나 정보 통신 기술에서 가상화는 운영 체계(OS)나 중앙 처리 장치(CPU), 스토리지 등 주로 하드웨어의 의존성을 배제하거나 통합을 위한 주요 수단이다. 스토리지(storage): 책 내용 직역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장소나 기기를 말함. 하.. 2019. 8. 25.
서버의 기본과 구조: 목차 ■제 1장: 서버의 기본지식 ・우리의 일상에 함께하는 서버 ・서버의 주요 역할 ・서버와 일반 컴퓨터의 차이 ・서버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의 두 가지 타입 ・다양한 서버의 종류 ・공유 서버의 특징 ・전용 서버의 특징 ・가상 서버(VPS)의 특징 ・클라우드 서버의 특징 ・서버를 구성하는 요소 ・서버를 구축하는 하드웨어 ・서버를 구축하는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사용하는 서버의 역할 ・서버 관리자의 역할 ■제 2장: 네트워크의 기초지식 ・네트워크의 전체상 ・데이터를 주고 받는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것 ・프로토콜의 종류 분류 ・IP주소란 ・IP주소의 종류 ・IP주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법 ・패킷의 중개역 프로토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토콜 ・TCP/IP프로토콜의 계층.. 2019. 6. 15.